‘장사의 신동’은 ‘국내 최초 예능형 라이브 커머스’를 표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지난달까지 총 20화가 방송돼 누적 조회 수 1,368만 회, 누적 판매액 80억 원을 기록했죠. 라이브 커머스 방송으론 이례적으로 높은 수치입니다. 재미와 성과,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데 성공한 ‘장사의 신동’ 시리즈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이베이코리아와 함께 이 프로그램을 기획한 CJ ENM 브랜디드 콘텐츠팀의 안지훈 PD에게 직접 물어봤습니다.
" '최저가 구매'를 보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프로그램을 보는 게 재밌어서' 오래 머물게 해야 합니다."
안지훈 CJ ENM 브랜디드콘텐츠팀 PD
Q. '장사의 신동'은 어떤 프로그램인가요?
'장사의 신동'은 이베이코리아와 CJ ENM이 협업해 만든 '국내 최초 예능형 라이브 커머스' 프로그램이에요. 2021년 5월 첫 방송한 후 현재 20회까지 업로드됐죠.
tvN D 유튜브에 본편이 올라가요. 본편에선 경영진을 찾아가 패키지와 사은품 등 가격 구성하는 걸 보여줘요. 이후 옥션·G마켓 웹사이트와 앱에서 라이브 커머스 방송을 해요. 미리 가격과 제품 정보를 제공한 후 라이브 커머스 시청을 유도하는 거죠.
'장사의 신동'은 최근 누적 매출액 100억원을 달성했다. ⓒ이베이코리아, tvN D
Q. 지금까지 어떤 브랜드가 나왔나요?
초반에 LG 오브제컬렉션, LF 헤지스,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삼성전자 비스포크를 판매했는데요. 4화 만에 2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어요. 실시간 누적 시청자 수는 89만 1000명이었죠. 기대하지 못한 성과였어요. 이후 방송 횟수를 월 4회로 확대 편성했죠.
2022년 2월 기준 20화까지 방송했는데요. 20화까지 누적 조회 수는 1368만 회입니다. 라이브 커머스 방송으론 이례적으로 높은 수치죠. 최근 판매액 100억원을 돌파했어요. 2021년 5월부터 현재까지 집계된 내역이죠.
Q. 진행자로 가수 '신동'을 섭외한 이유는 뭔가요?
출연자는 제품 친화적인 인물이어야 하는데요. 단순히 출연자의 이미지를 걸고 제품을 파는 것뿐 아니라 본인 스스로도 '적극적 소비자'여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신동의 '신동댕동'이라는 유튜브 채널을 보면, 신동이 다양한 가전제품을 리뷰하는데요. 새로운 제품에 관심이 많은 얼리어답터라는 판단을 했어요. 물건을 소개할 때 본인도 신나서 할 수 있겠단 생각을 했죠.
국내 최초 예능형 라이브 커머스 '장사의 신동' ⓒ이베이코리아, tvN D
Q. 제작 단에서 가장 고민하는 부분은 뭔가요?
제품이 확정되면, 두 가지 측면이 관건인데요.
첫째, '가격을 어느 선까지 낮출 수 있는가'입니다. 실제로 제작진은 확정된 가격을 알고 있지만, 출연자는 몰라요. 촬영 현장에서 '네고'를 합니다. 자연스러운 상황을 줘야 더 재미있는 콘텐츠가 나오니까요. 협의된 가격보다 더 낮아지거나, 사은품이 추가되기도 해요.
둘째, 이 제품을 어떤 식으로 유튜브 콘텐츠에 풀어낼지 고민해요. 본편에선 품목마다 그 특성을 살려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야기를 풀어가는데요.
예를 들어 신세계푸드의 올반&피코크 브랜드를 다룰 때는 제품을 활용한 요리 대회를 열었어요. 그렇게 각자 준비해온 요리를 가지고 대결하면서, 어떤 제품에 어떤 재료를 더해 음식을 만들었는지 자연스럽게 알려주는 거예요. 시청자들이 누가 이길지 투표하도록 하고, 1등을 맞춘 시청자들은 제품을 더 할인가에 구매할 수 있게 하는 거죠.
셋째, 제품 기업의 재원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해요. 출연 가능한 회사 직원이나 회사 내 공간, 공장 등 본편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확인하는 거죠. 어떤 공간 혹은 인물을 가장 중요하게 노출할지 사전조사를 합니다.
Q. 성공적인 라이브 커머스를 위해 꼭 챙기는 게 있다면 무엇일까요?
첫쩨, '최저가 구매'를 보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프로그램을 보는 게 재밌어서' 오래 머물게 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라이브 커머스를 보는 목적이 확실해요. '제품 최저가 구매'를 위해서죠. 제품 정보는 사실 잘 안 봐요.
그래서 일반 라이브 커머스에선 시청자들이 할인가만 보고 구매한 다음 곧바로 빠져나가는데요. 제가 속한 브랜디드 콘텐츠 팀은 방송 안에서 사람들이 즐기면서 오래 머물게 하는 걸 우선시합니다. 그래서 제품을 두고 상황극을 만드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람들이 웃을 수 있는 전략을 세워요.
둘째, 목표를 달성했을 때의 공약을 정합니다. 예를 들어 시청자 수 몇 명을 달성한다거나 몇 개를 팔았다거나 할 때 각각 미션을 걸어두는 거죠. 미션을 달성하면 출연자가 춤을 춘다거나 미션에 맞는 리액션을 보여주는 장치를 만들어요. 볼거리를 제공하는 거예요. 그렇게 다른 라이브 커머스와 차별화를 두고 제작하는 편입니다.
라이브 커머스가 끝난 후에는 월요일마다 판매 실적을 시청자들과 공유하는 라이브 방송을 해요. '판다'라는 팬덤도 생겼는데요. 덕분에 홍보비를 거의 쓰지 않고도, 팬들이 알아서 홍보를 해주고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