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 #뉴포티 #일잘러 "관둘까, 창업할까, 더 다닐까?" 40대는 커리어 실험 시작할 때 Editor's comment 과거에는 20, 30대에 커리어 고민을 끝내고 40대에는 안정적인 커리어 스텝을 밟아갔다면, 요즘 40대의 '일'의 흐름이 달라졌습니다. 최근 40대는 일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적극적으로 탐색하며, 업계 내 이직뿐 아니라 직무 전환이나 전업을 과감하게 시도하고, 아직 늦지 않은 자신만의 길을 찾아 나서고 있습니다. 새로운 가치관을 가진 40대, 바로 '뉴 포티'입니다. '뉴 포티'들은 어떤 커리어 지도를 어떻게 그려가고 있을까요? 폴인은 조직의 안팎에서 새로운 도전을 해나가는 다양한 '뉴 포티'를 만났습니다. 그리고 첫 번째 인터뷰이로 구글 마케터 출신의 곽기은님을 모셨습니다. 그는 구글을 다니며, 본업 외에 관심 있는 분야였던 소셜 임팩트와 비영리에 시간을 쏟았습니다. 그러다 40대에 들어서며 새로운 가치를 찾기 위해 구글에서 주 3일, 거꾸로캠퍼스에서 주 4일 일하는 커리어 실험을 시도했습니다. 혹시 커리어 전환점에 서 있나요? 도전하고 성장하는 삶을 추구하는 당신에게 곽기은 님의 '레퍼런스'를 통해 공감과 용기를 얻길 기대합니다. “커리어를 ‘쌓아간다’고 하잖아요. 내가 일을 놓지 않는 이상, 차곡차곡 쌓아서 나만의 큰 루트를 만들려면 고민도 평생 해야겠죠.” 곽기은 전 구글 프로덕트 스페셜리스트, 교육실험실21 COO Q. 구글에서 비영리로, 전업하는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을 것 같아요. 퇴사를 결심한 후 만난 멘토 한 분께서 저의 역량과 전문 분야를 좀 더 폭넓게 재정의해 보라고 하셨죠. 예전엔 '역량', '경쟁력'이 직무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지식이나 실무 경험 같은 거라고 생각했어요. 디지털 마케팅, 조금 더 나아가면 마케팅이나 전략만을 제 역량이라고 생각했던 거죠. 마케팅 경력이 꽤 오래됐고, 마케팅 판 안에만 있다 보니 제 경쟁력도 그 안에서만 규정하고 있었던 거예요.
그 세상 밖으로 나와서 보니 제겐 다른 경쟁력이 있었어요. 저에게 조언해 주신 분은 '비즈니스 통찰력(Business Acumen)'이라는 표현을 쓰셨는데요, 오랜 기간 다양한 조직과 프로젝트를 경험하면서 자연스럽게 체득한 감각이 직무 경험만큼이나 중요한 역량이더라고요. 전 그간 효율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의 프로세스, 의사결정의 원칙, 체계적으로 구축된 문화를 직접 경험했어요. 까다로운 이해관계자를 설득하며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도 했죠. 좁은 범위의 직무를 뛰어넘는 역량이라고 볼 수 있어요. 역량을 다시 정의하고 그걸 잘 풀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본 거죠. 해보지 않은 일이지만 할 수 있을 거라는 자신감이 생겼고, 교육실험실21의 COO를 맡게 됐어요.
조윤민(좌), 곽기은(우) 링커가 '뉴 포티'의 커리어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 송승훈 Q. 20대의 나, 30대의 나, 그리고 지금. 일에 대한 태도는 어떻게 변해왔나요? 2, 30대에는 '어떤 일을 할 것인가'가 가장 중요했고, 그 일을 잘하는 게 중요했어요. '내가 세상에서 최고로 잘해야지' 마인드였죠. 그리고 일을 열심히 해서 내 조직, 회사, 조금 더 확장하면 내 클라이언트가 잘 되는 것까지가 성공의 범위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30대 중반부터는 '어떻게 일할 것인가', '얼마나 일할 것인가', '일은 나에게 어떤 의미인가' 같은 고민이 들기 시작하더라고요. 이전엔 한 번도 해보지 않았던 질문이었어요. 고민이 생각보다 가볍지 않았어요. 사춘기처럼 끙끙 앓았죠. Q. 40대가 되어 바라본 40대는 어떤 것 같으세요? 하고 싶은 일을 자유롭게 실험해 볼 수 있는 시기인 것 같아요. 그 과정을 통해 나를 계속 이해하고 싶어요. '나는 이런 걸 좋아하는구나' 같은 거요. 내가 재미있게 할 수 있는 일을 계속 찾아가면 좋겠어요. 20대에 해야 했던 고민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저는 평생 해야 하는 고민이라고 생각해요. 나라는 사람도 계속해서 바뀌니까요. 그렇다고 제가 '일단 한번 해보면 되지' 식의 호기로운 성향은 아니에요. 소심하게 나름의 안전망을 갖춰놓는 스타일이죠. 이런 압박감이 2, 30대에는 더 심했어요. 오히려 40대가 되니 비교적 관대하고 넉넉해졌어요. '조금 망해도 대충 수습할 수 있지 않을까?' 식으로요. 그래서 도전해 볼 수 있는 것 같아요. Q. 한 분야에서 전문적인 커리어를 쌓지 못한다는 불안감은 없나요? 별로 없어요. 예전에는 커리어를 폭 좁고 매끈한 직선 같은 거라고 생각했어요. '디지털 마케팅 전문가'와 같은 단어로 설명할 수 있는 일관된 실무 경험들을 축적해가는 거요. 하지만 커리어를 쌓는다는 건 특정 분야에 대한 지식과 스킬 그 이상인 것 같아요. 일을 대하는 명확한 관점과 문제 해결 역량을 갖춘 사람으로 성장하는 거죠.
'문제 해결 역량이 과연 무엇인가' 최근에 고민을 많이 했는데요. '주어진 문제'를 최선의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이 다가 아니라, 어떤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문제 정의'부터 시작하는 힘이라는 결론을 내렸어요. 40세까지 주어진 일을 잘 해내는 '일잘러'로서의 스킬을 키워왔고, 이제는 그걸 바탕으로 내가 어떤 일을 해결하고 싶은지를 주체적으로 정의하려는 거예요. 20, 30대에 '나쁘지 않다' 싶은 일을 했다면, 40대엔 좋아하는 일을 찾아가는 거죠. 그런 의미에서 보면 저는 지금 커리어를 잘 쌓아가고 있는 거예요. ※ 이 콘텐츠는 스토리북 <40대의 커리어 레퍼런스, '뉴 포티'> 2화 중 일부입니다. NEW! 지금 가장 인기있는 신규 스토리는? 👀 |
새로운 영감과 자극을 전달하는 폴인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