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너럴리스트에서 스페셜리스트로, 대한항공 행정직으로 일하던 이환 님은 대학원 졸업 후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됐습니다. 커리어 전환을 위한 터닝포인트가 된 셈이죠. 대학원 진학의 결정적 계기는 ‘성장에 대한 갈망’이었어요. 스스로 미친 듯이 좋아하는 일이 아니면 지속하기 힘든 일이라고요.
"본인이 이루고 싶은 것이 뚜렷하다면
다른 사람들의 말은 중요하지 않아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이환
Q. 어떤 일을 하고 있나요?
LG CNS에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로 일하고 있어요. IT 기반 비즈니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DX(디지털 전환, Digital Transformation) 전문 기업인데요. 데이터 분석 전문 팀으로 옮겨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에서 XAI(Explainable AI) 기능 개발을 돕고 있습니다.
기존 인공지능 시스템은 ‘예측한 이유’에 대한 답을 알려주지는 못했는데요. 이 기능은 예측 결과에 대한 근거를 설명하는 지표까지 찾아주는 기술이에요.
Q. 대학원 진학 전에도 비슷한 일을 하셨나요?
전혀 달랐어요. 약 2년 동안 대한항공 일반행정직으로 근무했어요. 공항에서 현장 서비스업도 하고, 콜센터에서 수수료 계산 관련 업무도 했죠. 말하자면 스페셜리스트보다 제너럴리스트에 가까운 업무였어요. 제가 추구하는 성장과는 방향이 달라 갈증이 있었죠.
서른 살이 되던 해 퇴사를 하고 대학원에 입학했어요. 당시 회사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을 때라 주변에서 만류가 많았는데요. 좀 더 공부하고 싶은 영역이 있었기에 늦기 전에 도전하고 싶었죠. 서울대 산업공학 석사과정에 진학했습니다.
Q. 왜 대학원이었나요? 다른 길도 많았을 텐데요.
학부에서 했던 대학원 인턴 경험이 가장 결정적이었어요. ‘인간 컴퓨터 상호작용(Human-Computer Interaction)’이라는 강의를 듣고 흥미를 느껴서 관련 대학원에서 연구실 인턴을 하게 됐는데요. 그 기억이 굉장히 즐거웠어요.
저는 ‘성장’에서 행복을 느끼는 편이에요. 새로운 일에 도전하면 처음은 어렵지만, 어느 임계치를 넘어서는 순간 얻는 성취감이 좋아요. 대학원도 마찬가지였어요.회사에서 일하면서도 대학원에서 인턴 했던 때가 그리웠어요.
8개월에 걸쳐 완성한 논문 ‘인공지능 비서의 가이드 제공 방식 연구’. ⓒ이환
Q. 가장 인상 깊었던 강의는 무엇인가요?
논문 쓰기 수업을 통해서 인생을 살아가는 방법을 배웠다고 생각해요. 논문을 평가할 때 가장 중요한 세 가지가 있어요. 독창성(Originality), 타당성(Validity) 그리고 일반화 가능성(Generalizability)인데요. 이 세 가지 기준은 커리어에 접목해도 유효해요. 자신을 어떻게 차별화하고 검증할 수 있는지, 경험한 것을 어떻게 다른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지 고민하는 거죠.
또, 논문을 쓸 때는 반드시 다섯 줄을 먼저 적고 시작하라고 하셨어요. 결국 핵심은 독자 입장에서 읽고 싶은 논문을 써야 한다는 거죠. 이 방법은 회사에서 일할 때도 효과적이에요. 수백 페이지가 넘는 보고서를 쓰거나 발표자료를 만들 때 5가지를 먼저 정하고 시작하죠.
Q. 대학원에서 얻은 것 한 가지를 꼽는다면요?
대학원에서 배운 것 중 가장 중요한 건 ‘탐구하는 힘’인 것 같아요. 저의 경우, 인간과 AI 비서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관해 연구했는데요. ‘사람의 편의를 위해 개발한 AI 스피커가 왜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하고 엉뚱한 반응을 보일까?’라는 문제점을 인식하는 데서 출발했어요.
연구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인간공학, 컴퓨터공학, 뇌공학 등 관련 이론도 추가로 공부했고, 직접 인공지능 스피커를 만들어 실험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저만의 생각을 정리했어요. 8개월 내내 하나의 문제에 대해 끈질기게 고민하고, 직접 해결 방법을 찾아 제안하는 과정 그 자체가 잊지 못할 경험이에요.
오건영 신한은행 팀장은 '거시경제 1타 강사'로 불립니다. 어려운 글로벌 경제를 알기 쉽게 설명하는 것으로 유명하죠. 밀도 높은 시간을 유지하는 오건영 팀장의 경제 공부법을 들려드립니다. 경제에 관심은 있지만 어떻게 공부를 시작해야 할지 고민이신 분들에게 추천해 드려요.😉
경제 분야에 관심은 있지만 막연하고 어렵게 느껴져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는데, 이렇게 경제 전문가의 일상 루틴과 시각을 알 수 있게 보여주셔서 감사드려요. 미래를 대비하는 전문가들의 공부법 등을 소개해 주시는 내용이 참 좋습니다. 앞으로도 멋진 아티클 많이 기대하겠습니다:)
폴인이 답변 드려요.
전문가들의 시간 관리법과 공부법은 언제나 인사이트 넘치죠! 피드백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폴인 아티클, 글랜스레터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님의 의견도 궁금해요.
이번 글랜스레터, 어떠셨나요? 더 나은 글랜스레터를 위해 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어떤 점이 좋았고, 또 어떤 점이 아쉬웠나요? 설문에 참여하신 분 중 추첨을 통해 커피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5초 설문조사 참여로 폴인 마케터는 행복해져요.)💖